1. 주가지수
- 코스피: 2936.44 (-1.16%)
- 코스닥: 1005.89 (-3.46%)
- 다우산업: 34580.08 (-0.91%)
- 나스닥종합: 15085.47 (-2.62%)
- S&P500: 4538.43 (-1.22%)
- 다우운송지수: 15967.24 (-1.53%)
2. 증시 주요 이슈
美 블랙프라이데이 온라인 매출 사상 첫 감소
- 올해 블프 온라인 매출 89억달러.. 전년비 감소
- 지난 10월부터 조기 쇼핑 나선 영향
- '오미크론' 변수.. "향후 오프라인 쇼핑객 감소 우려"
정부, 일상회복 2단계 유보 및 4주간 특별방역대책 시행
- 특별방역대책 핵심은 백신접종, 3차까지가 접종 완료
- 청소년 백신 접종 및 영유아 접종도 검토
- 트래블버블 국가 확진자 출현 시 여행 출입국 중지 검토
오미크론 리스크 증시에 미칠 영향은
- 파월 "오미크론 경제, 고용, 인플레 악영향"
- 오미크론 변이 출현 고용, 경제활동에 하방 위험 초래
- 파월 "테이퍼링 속도 더 높여야, 인플레 내년 하반기 사그라질지 확신 못해".. 긴축 가속화
- 오미크론 변수에도 긴축 빨라지나.. 12월 FOMC 주목
- JP모건 "코로나 독감처럼 변할 듯.. 저가 매수 기회"
- 오미크론 변이 팬데믹 종말 신호라는 분석에 위험투자 선호 심리↑
국민연금, 국내주식 매수 여력 생겨
- 현재 국민연금 국내주식비중 약 18.4%로 추정
- 한도까지 1.5%p 여유.. 약 13조원 순매수 규모
- 국내 증시가 해외보다 낙폭 커.. 비중 위해 매수 가능성도
- 국민연금, 특정종목에 집중매수.. 차별화 뚜렷해질 듯
글로벌 IB, 내년 코스피 전망 '줄하향'
- 골드만, 3700 -> 3350 하향.. 모건 역시 3250 ->3000
- 반도체 다운사이클 속 인플레 압력에 이익 하락 예상
- 내년 韓 증시 12개월 선행 PER 0.5배, PBR 1.14배 전망
- 내년 韓 주당순이익 증감률 마이너스 전망.. 실적 기대치 낮고 종목 차별화 전망
- 이달 중순 대차거래 잔고 80조원 육박.. 하락에 베팅 투자자↑
- 기관은 상승장에 베팅.. 12월 기관 순매수 1위 'KODEX 레버리지'
디지털자산 과세 1년 유예.. 2023년 시행
- 디지털 과세 유예하는 소득세법 개정안 소위 통과
- 여야 합의로 통과.. 과세 '23년부터, 세금 납부 시점은 '24년
29일, SK텔레콤-SK스퀘어 상장
- 기존 주주는 5대 1로 액면분할한 SK텔레콤 주식을 0.61대 0.39 비율로 존속법인, 신설법인 주식으로 나눠 가짐
- SK텔레콤 기업가치 16조9000억원, SK스퀘어 기업가치 12조원으로 예상
- 존속법인은 통신사업의 안정적 현금흐름 바탕 배당주로서 기업가치 유지
- 신설법인은 SK텔레콤 자회사들의 가치와 비통신 사업 성장성 부각
- SK스퀘어 자회사 IPO 진행으로 기업가치 증대 목표... 원스토어 22년 상반기 IPO 추진 공식화
상장 준비하는 22년 IPO 대어들
-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예비심사 승인
- 공모청약은 내년 1월 중으로 진행 예상... 기업가치 75~80조원 전망
- 마켓컬리, 2500억 규모 프리 IPO 성공.. 기업가치 3조 7500억원 인정
- "성장성에 높은 가치".. 상장 후 시총 5~7조 전망
수출 월 600억달러 시대 열다.. 오미크론발 공급망 우려는 부담
- 11월 수출 사상 첫 600억 돌파.. YoY 32% 증가한 604억달러
-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등 15개 품목 중 13개 수출 증가
- 연간 수출 기록 경신 확실시.. 내년 수출 낙관은 어려워
OPEC+, 하루 40만 배럴 증산 유지
- OPEC+ 내년 1월 하루 40만 배럴 증산 기존 방침 유지
- 다만, 시장 상황 바뀌면 즉각 조정할 것이라고 전제
- OPEC+ 발표로 국제유가 반등
- 골드만삭스 유가 상승 전망 "美 셰일 생산 주춤한 사이 OPEC 유휴생산력도 축소"
中 디디추싱 뉴욕 상장 폐지 결정.. 홍콩 재상장
- 美, 中 규제당국 압박에 뉴욕거래소 상장 폐지 결정
- 中 정부 상폐 종용, 美 정부 소유 공개 지침으로 압박
- 디디추싱 "홍콩 상장 준비작업 시작할 것"
3. 다음주 주요 일정
- 6일, 美 11월 고용동향지수
- 9일, 中 11월 CPI, PPI
- 9일, 韓 선물 옵션 동시 만기일
- 10일, 美 11월 CPI, 12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 10일, 美 11월 Core CPI, CPI
'Weekly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12월 3주차 시황 정리 (50주차) (0) | 2021.12.19 |
---|---|
'21 12월 2주차 시황 정리 (49주차) (0) | 2021.12.11 |
'21 11월 4주차 시황 정리 (47주차) (0) | 2021.11.28 |
'21 11월 2주차 시황 정리 (45주차) (0) | 2021.11.13 |
'21 11월 1주차 시황 정리 (44주차) (0) | 2021.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