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지수
- 코스피: 2970.68 (-1.18%)
- 코스닥: 992.38 (-0.28%)
- 다우산업: 35819.56 (+0.40%)
- 나스닥종합: 15498.39 (+2.70%)
- S&P500: 4605.38 (+1.33%)
- 다우운송지수: 15906.58 (+0.85%)
2. 증시 주요 이슈
파월 "내년까지 인플레 지속"
- 공급망 병목에 인플레 예상보다 지속 전망
- 내달 연준 테이퍼링 결정할 듯.. "금리 인상 시기는 아냐"
- 애틀랜타 총재 "이르면 내년 3분기 금리 인상"
- 옐런, "인플레 정상 수준 2% 내년 하반기 돌아올 것"
다음주 美 FOMC.. 테이퍼링 기조 유지 여부 주목
- 파월 인플레 장기화 및 내년 지속 전망 속 테이퍼링 발언 주목
- 지난 9월 FOMC,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은 별개 이슈'라는 입장
- 금리인상 점도표도 관건
내달 1일부터 '위드 코로나'.. 식당, 카페 이용 제한 풀려
- 일상회복 6주 간격으로 3단계 걸쳐 시행
- 내달 1일부터 유흥시설 제외 24시간 영업 가능
- 고위험시설 백신패스 적용..위기 시 일상회복 일시중단
테슬라 시가총액 1조달러 돌파
- 렌터카 업체 허츠가 테슬라 10만대 주문 발표한 영향으로 '천슬라' 달성
- 車 업체 최초로 1조 달러 클럽 가입
- JP모건 "목표주가 1200달러" 제시
韓 3분기 성장률, 올해 4% 달성 불가 우려
- 3분기 GDP 전분기대비 0.3%↑ 컨센서스 0.6% 하회.. 분기별 성장률 둔화
- 민간 소비 및 건설 설비투자 위축 영향
- 올해 GDP 성장률 4% 달성 여부 주목
- 단, 4% 성장률보다 내년 성장 경로 중요.. 수출 개선 필요
美 3분기 성장률 2.0%
- 전 분기(6.7%)의 1/3 수준
- 소비지출 증가율 1.6%로 작년 3분기 이후 최저치, 지난 2분기 12%에서 급락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커져.. CPI 상승률 5개월 연속 5%
- 美 경제 큰 복병 에너지.. 연준 긴축전환 속도 빨라질 듯
최대주주 악용 방지 CB 콜옵션 한도, 지분율 이내로 제한
- 27일 금융위, CB 시장 건전성 제고 위한 개정안 시행
- 상장사 CB 발행 시 콜옵션 한도를 발행 당시 지분율 이내로 제한해야
- 사모 CB 경우 주가 상승 시 전환가액 상향조정 의무화
- 상향 조정 범위 최초 전환가액 한도 이내 (최초 전환가액의 70~100%)로 규정
- 공모 발행 시에는 개정 규정 적용 X
페이스북 사명 '메타'로 변경, 메타버스 기업으로
- 소셜미디어 기업을 넘어 메타버스 메이저 플레이어로 거듭나려는 시도
- 내부 고발자 폭로 비판 여론과 거리 두려는 시도로도 해석
- 지주회사 체계 전환은 X
- 29일 열린 VR, AR 연례 행사 '커넥트 컨퍼런스'에서 메타버스 관련 사업 발표
KT 통신 먹통
- 'EXIT' 명령어 하나 누락했다가 전국 89분 통신대란
- 25일 오전 11시 16분~오후 12시 45분까지 먹통
- 원칙 어기고 야간 작업 싫어 주간작업하다가 엄청난 피해
3. 다음주 주요 일정
- 1일, 韓 10월 수출입 발표
- 2일, 美 10월 ISM 제조업지수
- 2일, 韓 10월 CPI
- 3일, 美 10월 ADP 고용
- 5일, 美 10월 고용보고서
'Weekly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11월 2주차 시황 정리 (45주차) (0) | 2021.11.13 |
---|---|
'21 11월 1주차 시황 정리 (44주차) (0) | 2021.11.07 |
'21 10월 3주차 시황 정리 (42주차) (0) | 2021.10.24 |
'21 10월 1주차 시황 정리 (40주차) (0) | 2021.10.11 |
'21 9월 5주차 시황 정리 (39주차) (0) | 2021.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