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지수
- 코스피: 3125.76 (-2.35%)
- 코스닥: 1037.91 (-1.51%)
- 다우산업: 34607.72 (-2.15%)
- 나스닥종합: 15115.49 (-1.61%)
- S&P500: 4,458.58 (-1.69%)
- 다우운송지수: 14366.89 (-2.61%)
2. 증시 주요 이슈
미국 8월 신규 일자리 23만명에 그치며 '고용 쇼크'
- 시장 예상치(72만명)를 50만명 가까이 하회
- 7월 신규 고용(105만3000명)에 한참 미치지 못한 수준
- 2분기 피크아웃 논란 재점화와 더불어 테이퍼링 개시 시점 연기될 가능성에 주목
- 델타변이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의견도 있어
- 다만 8월 실업률은 전달 5.4%에서 5.2%로 소폭 내려
- 테이퍼링 12월 시작 전망이 유효한 것으로 보이지만, 연준 위원들은 빠른 테이퍼링 지속적 언급
신규 상장 대형주 기관 의무보유 이달 풀린다
- 6일 카뱅 314만주 (8.72%), 10일 크래프톤 96만주 (16.9%), 18일 SK바사 394만주 (31.28%)
- 물량 부담 커져 주가 하락 가능성 높아
이번주 '수소 위크' 수소株 주목
- 7일 현대차그룹 '하이드로젠 웨이브' 수소 비전 공개
- 현대차, '2045년 탄소중립' 로드맵 발표
- '23년차까지 수소전기차 RV라인업 3종으로 확대
- 전동화 차량비중 2030년 30%.. '40년엔 80%까지
- 8일 韓 수소기업협의체 출범 5개그룹(현대차, SK, 포스코, 한화, 효성) 15개 회원사 '30년까지 43조 투입
알루미늄 선물값 10년 만에 최고
- 알루미늄 가격 2008년 이후 최고치
- 서아프리카 기니에서 발생한 쿠데타 여파
- 기니, 알루미늄 생산재료 보크사이트의 중국 최대 공급국
- 알루미늄, 전기차 수요 증가 및 공급 부족으로 구조적 '슈퍼 사이클' 도래\
- 알루미늄은 전기차, 2차전지 양극박의 재료
- 탄소배출 규제로 인한 주요 생산국 中 공급 감소로 가격 상승
플랫폼 규제에 NAVER, 카카오 주가 급락
- 금융위와 금감원, 핀테크 업체가 금융상품을 소개하는 영업 행위 대부분을 '광고'가 아닌 '중개'로 해석
- 네이버 파이낸셜, 카카오페이, 토스 등은 금융소비자보호법 계도 기간이 끝나는 이달 24일까지 중개업자 등록 필요
- 여당에서도 카카오의 시장 독점 논란을 거론하며 네이버, 카카오 주가 급락
미 연준의 베이지북(경제보고) 공개
- 美, 델타 변이 확산에 7~8월 경제성장 하강세
- 공급난에 제품가격 더 오를 듯.. 기업발 인플레 우려↑
- 노동력 부족에 따른 임금 상승 압력 역시 거론
- 델타 변이 확산 우려 속 연은 총재들의 테이퍼링 개시 언급으로 이번주 미국 지수 계속 하락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속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주목
ECB, 기준금리 0% 동결 결정
- 인플레 고려해 팬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PEPP)의 채권 매입속도 낮추기로.. 6개월 만에 수정
- 테이퍼링은 아냐.. 내년 3월까지 기존 매입 규모(1조 8500억달러) 유지
- 리가르드 총재 이번 결정이 테이퍼링이 아니라는 걸 강조하며 마거릿 대처의 명언을 인용, "The lady's not for turning"
3. 다음주 주요 일정
- 13일, 식약처 글로벌 바이오 컨퍼런스 (GBC) 2021 개최
- 14일, SK리츠 신규상장 공모가 5000원
- 14일, 아이폰13 공개 예정
- 14일, 왕이 中 외교부장 방한
- 15일, SK텔레콤 'ai.x 컨퍼런스' 개최
- 15일, 스페이스X 우주 관광 개시 예정
- 17일, 현대중공업 신규 상장
- 17일, 美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Weekly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9월 4주차 시황 정리 (38주차) (0) | 2021.09.25 |
---|---|
'21 9월 3주차 시황 정리 (37주차) (0) | 2021.09.18 |
'21 8월 4주차 시황 정리 (34주차) (0) | 2021.08.31 |
'21 8월 3주차 시황 정리 (33주차) (0) | 2021.08.23 |
'21 8월 2주차 시황 정리 (32주차)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