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가지수
- 코스피: 2661.28 (-1.92%)
- 코스닥: 891.71 (-1.03%)
- 다우산업: 34754.93 (+5.50%)
- 나스닥종합: 13893.84 (+8.18%)
- S&P500: 4463.12 (+6.16%)
- 다우운송지수: 16497.72 (+8.30%)
2. 주요 시장 지표
원달러 환율 (03.18) | 1,215.50 |
WTI 유가 | 103.09 |
달러인덱스 (03.18) | 98.22 |
미국 국채 10년물 | 2.1530 |
국제 금 | 1928.2 |
3. 증시 주요 이슈
美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 '18년 이후 처음
- 올해 6회(1.50~1.75%) 추가 인상 시사
- 이르면 5월부터 양적긴축도 개시
- 파월 "미국 경제 강해.. 인플레 상방 리스크 보고 있어"
한풀 꺾인 원자재 고공 행진
- 국제유가 급락.. 장중 100달러 하회하기도
- 러-우 평화회담 재개, 中 셧다운, 베네수엘라 공급 증가 가능성 영향
- 이외 천연가스, 석탄, 구리, 금 등 원자재도 진정세
- 가격 폭등에 중단된 니켈 거래 16일부터 재개
- LME, 일일 가격제한 포함한 新 거래제한 발표
- 18일 유가 다시 100달러 재돌파.. IEA "4월 하루 300만배럴 러 원유 생산 중단.. 공급 위기"
디폴트 위기 넘긴 러시아.. 3차례 이자 지불 남아
- 외신 "러, 일부 채권자에 달러화로 국채 이자 지급"
- 지급된 이자 JP모건 통해 지급대리인인 씨티은행에 전달
- 디폴트 위기 모면할 듯.. 불씨는 여전히 남아
- 21일 1.8억달러, 28일 2.8억달러, 31일 7.3억달러 지불
- 4, 5월에도 국채이자 지불 남아.. 디폴트 우려 지속
러시아 6월까지 밀·보리 주요 곡물 수출 일시 중단
- 6월 말까지 주요곡물, 8월 말까지 설탕 수출 금지 예정
- 러, 우크라 밀과 보리 수출량 전 세계 수출량의 3분의 1
- 곡물 금수조치 서방 제재에 보복 차원이라는 분석도
에그플레이션 공포.. 그래도 뛰는 식음료株
- 세계 최대 곡물수출국 러시아 곡물 수출 중단
- 곡물가 상승.. 식음료주 원가 부담↑.. 가격인상 기대
- 하반가 추가 인상 및 내식 선호로 수요 증가 예상
中, 러에 군사-경제지원 시사.. 美 "中 제재 경고"
- 中, 美와의 회담에서 러시아 경제·금융 지원 강조
- 美, 中 전방위 제재 나설 것.. 美-中 갈등 격화
- 美 "모든 국가 어느 편에 서 있는지 밝힐 필요 있어"
인플레, 러-우크라 전쟁으로 하향하는 경기 전망
- BoA "인플레 압력에 국제유가까지 상승.. 美 경기 침체"
- 오일 쇼크와 연준 긴축 정책 결합 시 美 스태그플레이션
- 골드만, 올해 美 성장률 전망 2.0% -> 1.75%로 낮춰
한국서 발빼는 외국인, 주식보유비중 6년만에 최저
- 외인, 이달들어 벌써 코스피 4조원 매도
- 원달러 환율 급등 영향.. 1240원 돌파하기도
- 환율 하락시 IT·SW 업종 수급 개선 수혜 전망
코스피 기업들 연이은 주식 쪼개기.. 이유는?
- 올해 주식분할결정 공시 기업 코스피 8곳, 코스닥 1곳
- 시장 침체에 거래 줄자 부양카드로 내세워
- 액분 시 소액주주 투자 늘어 주가 상승 여력 생겨
- 거래량은 늘지만 액분 후 고전도 많아.. 펀더멘털 중요
4. 다음주 주요 일정
- 21일~24일, 美 엔비디아 주최 AI 컨퍼런스
- 21일, 日 증시 휴장(춘분의 날)
- 21일, 中 3월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 22일, 나이키 실적 발표
- 24일, 한국은행 금융안정회의
- 25일, EU 정상회담
'Weekly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17주차 시황 정리 (0) | 2022.04.30 |
---|---|
'22 12주차 시황 정리 (0) | 2022.03.26 |
'22 10주차 시황 정리 (0) | 2022.03.12 |
'22 9주차 시황 정리 (0) | 2022.03.05 |
'22 8주차 시황 정리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