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

강방천의 관점

lucario 2021. 8. 2. 12:28

 

 

  • 제목: 강방천의 관점
  • 저자: 강방천
  • 출판사: 한국경제신문
  • 읽은 날짜: 2021.06.09

 

Review

  이 책은 한국 가치 투자가 중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강방천 회장이 자신의 가치 투자법을 정립하기까지의 일생과 투자 원칙을 담은 책으로 시대의 흐름을 정확히 읽는 그만의 통찰력과 뛰어난 감각이 돋보이는 책이었다. 업계 최초로 펀드를 직접 판매하는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을 출범시킨 강방천 회장은 수많은 개인 투자자에게 자신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이야말로 사회에 돌려줄 수 있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이 책을 집필했다고 하였는데 일부 기술적인 내용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내용은 어떻게 해서 본인이 지금까지 성공적인 펀드매니저로서 업계에 남을 수 있었는지와 어떤 과정을 거쳐 본인만의 확고한 투자 원칙을 세울 수 있었는지에 관한 것으로 주식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은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는 수준의 책이었다.

 

  다같이 부자되자는 의미에서 이름 붙인 단 세 개의 리치투게더펀드(코리아/차이나/글로벌)는 13년이 지난 현재 비교대상 펀드들 가운데 최상위 수준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하는데 책을 읽으면서 고객들을 비롯한 개인 투자자들에 대한 강방천 회장의 진심을 엿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현미경적으로 기업을 분석하면서도 망원경적으로 산업의 변화나 패러다임 시프트를 꿰뚫어보는 그의 상상력과 아이디어가 감명 깊었다. 강방천 회장의 기업 분석 방법을 참고하여 투자를 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책 내용 일부를 정리하고자 한다.

 

 

 

STEP 5 매뉴얼

 

STEP5 매뉴얼은 에셋플러스자산운용에서 좋은 기업을 고를 때 반드시 활용하는 매뉴얼으로 강방천 회장의 투자 원칙이 각 단계에 고스란히 녹아들어있다.

 

  • STEP 1 : 산업의 존재 = f(효용, 가격, 인프라)
  • STEP 2 : 확장성 = f(시장규모, 경쟁구조, 기업의 경쟁력)
  • STEP 3 : 수익력 = f(P X Q - C)
  • STEP 4 : 적정 PER = f(이익의 지속성, 변동성, 확장성, 예측 가능성)
  • STEP 5 : 투자판단 = f(미래 시가총액, 현재 시가총액)

 

- STEP 1 : 산업의 존재 = f(효용, 가격, 인프라)

 

산업이 존재할지 아닐지를 판단하는 단계. 효용 여부가 있는지를 우선 판단한 후 미래가격과 상대가격을 따져 미래에 소비자들이 감내할 수 있는 가격인지를 판단한다. 그 후 "깔림"인 인프라를 고려한다. 이 산업이 앞으로도 존재할지, 이 제품과 서비스가 지속될지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 STEP 2 : 확장성 = f(시장규모, 경쟁구조, 기업의 경쟁력)

 

산업이 앞으로도 존재한다면 얼마나 오래갈지 지속성을 확인하는 단계.

  1. 산업이 얼마나 지속될까
  2. 얼마나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가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사용할까
  3. 경쟁기업은 얼마나 될까

- STEP 3 : 수익력 = f(P X Q - C)

 

현미경적인 시각으로 수익 구조를 살핀다. 매출액에서 각종 비용을 뺀 기업의 실제 이익을 분석하면서 특히 비용의 경우 원가구조에 따라 이익변동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세밀하게 살펴본다.

 

- STEP 4 : 적정 PER = f(이익의 지속성, 변동성, 확장성, 예측 가능성)

 

3단계에서 산출한 기업이익에 부여할 적정 PER을 분석하는 단계다. 네 가지 변수를 가지고 뛰어난 기업의 PER에 프리미엄을 부여하는 것이다. (강방천 회장은 이익의 양보다 이익의 질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STEP 5 : 투자판단 = f(미래 시가총액, 현재 시가총액)

 

4단계에서 이익의 질을 통한 K-PER을 산출했다면 기업의 적정가치를 계산하고 현재 시가총액과 비교해 기대수익을 계산한다. 그렇게 하여 미래 시가총액을 구한 뒤 현재 시가총액과 비교하여 기대수익률을 구한다.

 

 

 

강방천의 11가지 관점

  1. 고객이 떠날 수 없는 기업
  2. 고객이 늘수록 고객이 좋아하는 기업
  3. 내 삶을 지탱하고 깨우는 기업
  4. 불황을 즐기는 일등기업
  5. 누적적 수요를 쌓아가는 기업
  6. 소비의 끝단을 장악하고 있는 기업
  7. 시간의 가치를 쌓는 기업
  8. 소유의 소비에서 경험의 소비로 이동을 만드는 기업
  9. 늘어나는 인구를 고객으로 하는 기업
  10. 멋진 자회사를 보석처럼 품고 있는 기업
  11. 유능한 리더가 있는 기업

 

멧칼프 법칙

메트칼프의 법칙(Metcalfe's law)은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비용은 직선적으로 늘지만, 그 가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법칙이다.

 

미국의 쓰리콤(3com)사의 창립자면서 전기공학자인 밥 메트칼프(Bob Metcalfe)가 고안했다. 이 법칙의 이론적 근거는 특정 상품의 수요가 다른 사람들의 수요에 영향을 준다고 보는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다.

 

메트칼프는 통신 네트워크가 커지면 구축 비용은 이용자 수에 비례해 증가하지만, 네트워크의 가치는 이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해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100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100명이 늘어나면 비용은 두 배로 늘지만, 네트워크 참여 인원은 200명의 제곱인 4만 명으로 급증한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