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시황

'22 4주차 시황 정리

lucario 2022. 1. 30. 19:49

1. 주가지수

  • 코스피: 2663.34   (-6.03%)
  • 코스닥: 872.87  (-7.42%)
  • 다우산업: 34725.47 (+1.34%)
  • 나스닥종합: 13770.57 (+0.01%)
  • S&P500: 4431.85 (+0.77%)
  • 다우운송지수: 15048.62 (-1.30%)

 

2. 증시 주요 이슈

1월 FOMC, 파월 매파적 발언에 얼어붙은 증시

- 기준금리 0.00~0.25%로 동결

- 3월 금리 인상 시사 'interest-rate hike will soon be appropriate'

파월, "금리인상 여지 꽤 많다 quite a bite of room", "겸손하고 민첩하게 헤쳐나갈 것 humble and nimble" 매파적 발언에 시장 충격

- 3월 테이퍼링 종료 전망.. 이후 양적긴축 시기는 금리 인상 시작 후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시행

- BoA 올해 금리 인상 7회 전망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

- 美 국무부, 러시아 침공 대비 병력 증강 계획 수립

- 제재 목적은 억제력..방아쇠 당기면 억제 효력 상실

- 필요 시점 오면 러시아 심각한 대가 치를 수 있어

- 전쟁 발발 우려에 천연가스 가격 연일 급등, 브렌트유 90달러 돌파

- 실제 침공 시 글로벌 물가상승에 큰 악영향

 

 

27일, LG에너지솔루션 신규상장

- 전기차용 2차전지 생산.. 고객사, 테슬라·현대차·GM 등

- 한국·미국·중국·유럽 4개 지역서 생산체제 구축

- 기관 대상 수요예측 2023대 1 경쟁률 기록

- 최종 공모가 30만원 (희망밴드 상단)

- 일반투자자 공모 청약에서 69대 1 경쟁률 기록(비례 139:1)

 

 

IMF,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 '22년 성장률 전망치 4.9% -> 4.4%로 하향

- 주요 선진국 전망치 1분기 오미크론 우려로 하향

- 인플레 당분간 지속 전망.. 내년 다소 진정될 듯

 

 

정부, MSCI 지수 편입 위해 외환시장 전면 개편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위해 외환시장 개선 방안 추진

- 외환시장 개장 시간 연장, 역외 원화 거래 허용 검토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시 19조~65조 외인 자금 순유입

 

 

韓 지난해 GDP 성장률 4% 달성 "수출+소비 개선"

- 4분기 GDP 전기대비 1.1%, 전년동기대비 4.1% 증가

- 민간소비, 건설투자 증가 전환, 정부 소비와 수출 늘어

- 작년 한해 실질 GDP 전년대비 +4.0%.. 한은 전망치 부합

 

 

美 지난해 경제성장률 37년래 최대폭

- 美 4분기 실질 GDP 증가율 속보치 +6.9%.. 예상치 상회

- 강한 개인소비 영향.. 오미크론 확산은 반영 안 돼

- 긴축 돌입시 다시 3% 안팎 회귀할듯

 

 

확대되는 디지털자산 시장 전망

- BCG "26년 韓 디지털자산 시장 1000조원 돌파 전망"

- 글로벌 디지털자산 시장 21년 기준 4300조원 추산

- 韓 시장 10% 점유... 26년까지 연 평균 20% 성장 전망

- BoA "美 이르면 25년 디지털화폐 발행 전망"

- 디지털화폐 수요 증가 외면 힘들다고 판단

 

 

삼성전자 中 시안 반도체 공장 정상화, 실적 발표

- 中 봉쇄조치 이후 29일 만에 낸드 공장 정상화

- 이번 시안 봉쇄에 따른 시장 영향은 크지 않다고 분석

- 1분기 낸드 가격 전분기 대비 8~13% 하락 예상

- 지난해 반도체 20년 대비 29% 성장.. 실적 견인

-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 기대.. 2분기 반등 예상

 

 

3. 다음주 주요 일정

  • ~2일, 韓 증시 휴장
  • ~4일, 중국, 대만 등 증시 휴장
  • 2일, OPEC+ 회의
  • 3일, 美 1월 서비스업 PMI 확정치
  • 3일, 2022년 1차 금통위 의사록
  • 3일, BOE 2월 통화정책회의
  • 3일, 롯데정밀화학, 메타, 퀄컴, 머크, 바이오젠 실적발표
  • 4~20일, 중국 베이징 동계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