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2주차 시황 정리
1. 주가지수
- 코스피: 2921.92 (-1.12%)
- 코스닥: 971.39 (-2.39%)
- 다우산업: 35911.81 (-0.88%)
- 나스닥종합: 14893.75 (-0.28%)
- S&P500: 4662.85 (-0.30%)
- 다우운송지수: 15904.96 (-2.24%)
2. 증시 주요 이슈
파월 청문회 발언, 연준 인사 발언으로 출렁이는 시장
- 파월, 인준 청문회 출석.. 점진적 긴축 시사
- "공급과 수요 불균형 물가 올려.. 인플레 견고 막겠다"
- 양적긴축, 올해 하반기 시작할 듯.. "정상화까지 긴 여정"
- 美 연준 내부 최대 4회 금리 인상론 확산
- 美 연준부의장 지명자 브레이너드 "인플레 억제 최우선"
- 패트릭 하커 연은 총재 "연내 3~4회 금리 인상 지지"
JP모건 CEO "연준 올해 최소 네 번 금리 인상 전망"
- 다이먼 CEO "인플레 악화되면 더 많이 금리 올릴 것"
- "올해 대공황 이후 역대 가장 훌륭한 성과 이룰 것"
- 앞서 도이체방크, 골드만삭스 등도 4차례 인상 전망
한은, 기준금리 1.00%에서 1.25%로 인상
- 물가 상승 압력 높고 범위도 넓어.. 여전히 완화적
- 현재 긴축할 상황은 아냐.. 금융불균형 등 고려할 것
세계은행, 올해 글로벌 성장률 둔화 전망
-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4.1% 예상.. "현저한 둔화"
- 코로나19 변이, 물가상승, 정책 불확실성 영향
- 미국 성장률, 전년비 1.9%p 하락한 3.7% 전망
中 시안 봉쇄 장기화에 D램, 낸드 가격 반등세
- 삼성 지난해 12월부터 현재까지 中 시안 생산라인 축소
- 시안 삼성 낸드 생산량의 40% 담당.. 전세계 생산량의 10%
- D램 年 5% 하락, 낸드 7% 하락.. 기존대비 낙폭 축소 전망
인도네시아, 석탄 이어 주요 광물 수출 중단 예고
- 올해 보크사이트, 내년엔 구리 원광 수출 금지 방침
- 고부가가치 창출 목적.. 조코위 대통령 "산업 전환"
- 알루미늄 가격 더 오를 듯.. 시장 충격 예상
120조 투자한다던 TSMC, 24조원 더 투자... 지난해 4분기 사상 최대 매출
- 대만 매체, TSMC 200억 달러 추가 투자 늘릴 것 전망
- 7/6/5/4 나노미터 주문 꽉 차.. 수요 만족 위해 필요
- 2나노 양산 시점 앞당길 수도 있어.. 5/3/2 나노 투자 주목
- 4분기 매출 YoY +21%, 순이익은 +16%
- 올해 성장 지속..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20% 성장 전망
- 생산규모 증대에 최대 440억달러 투자.. 전년대비 46%↑
테슬라 中서 차량 판매 월간 최고 기록
- 지난해 12월 中 판매량 7만847대.. 전년비 3배↑
- 지난해 中에서 47만대 판매.. 테슬라 판매량 전체의 절반
- 실적 호조에 '천백슬라' 복귀, 웨드부시·모건스탠리 등 테슬라 목표주가 상향
LG엔솔, 기관 대상 수요예측 역대급 흥행
- 경쟁률 1500대1 넘은듯.. 기관 주문액 1경원 몰려
- 공모가 30만원 유력.. 17~18일 공모청약
- 27일 상장 후 FTSE 등 편입 가능성
- 우리사주조합 보유 지분 85%, 시장 물량은 14%
- 기관 물량 중 절반 보호예수 설정 시 유통 물량 10% 이하
우울한 화장품株.. 먹구름 언제 빠질지 모른다
- 화장품株, 실적 쇼크 우려에 하락세.. 중국 소비 부진
- LG생활건강 중국 소비 부진에 증권가 목표가 줄하향
- 중국 소비 부진, 코로나19 및 정부 기조도 영향
3. 다음주 주요 일정
- 17일, 美 증시 휴장 (마틴루터킹 데이)
- 17일, 유로존, EU 재무장관회의
- 17일, 세계경제포럼 화상 회의 개최 (~21일)
- 19일, LG에너지솔루션 청약
- 19일, 모건스탠리 실적 발표
- 20일, 넷플릭스 실적 발표
- 20일, 韓 12월 PPI
- 21일, 美 옵션만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