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1주차 시황 정리
1. 주가지수
- 코스피: 2954.89 (-0.76%)
- 코스닥: 995.16 (-3.75%)
- 다우산업: 36231.66 (-0.29%)
- 나스닥종합: 14935.90 (-4.53%)
- S&P500: 4677.03 (-1.87%)
- 다우운송지수: 16268.77 (-1.27%)
2. 증시 주요 이슈
애플 사상 첫 시총 3조달러 기업 등극
- 애플, 세계 기업 중 사상 최초로 3조달러 돌파
- 모건스탠리의 목표가 상향 영향.. 신사업 성과 기대
테슬라 지난해 차량인도 87% 증가.. 신기록 행진
- 테슬라 지난해 차량 인도 대수 93만대.. 예상치 초과
- 4분기에만 30만대 차량 생산.. 대량 생산 궤도 올라
- 반도체 부족 상황에도 생산량 확대 부각
美 연준 대차대조표 축소 논의.. 양적긴축 예고
- 연준 이사들 보유 중인 8.7조 달러 국채, MBS 축소 계획
- 대차대조표 축소는 결과적으로 시중의 유동성 흡수 방안
- WSJ "과거보다 많은 단기물 보유.. 대차대조표 빠른 축소"
- 금리인상 빠르면 오는 3월.. 양적긴축, 여름 내 개시할 듯
- JP모건 "연준 대차대조표 축소 9월부터 월 1000억달러 규모 국채, MBS 축소 전망"
- 높은 인플레, 타이트한 고용시장 영향
한은 다음주 기준금리 인상 유력.. 연 3회 인상 가능성↑
- 14일 예정된 금통위를 시작으로 연 3회 인상 가능성
- 금리 인상 보통 0.25%P 이뤄져.. 올해 최대 1.75% 전망
- 연 3회 인상 11년 만.. 美 금리 정상화 속도에 韓도 영향
원/달러 환율 1200원 돌파
- 달러 상승세 코스피 연간 상승률 2배 이상 높아
- 인플레이션과 코로나19 재확산 영향.. 달러 수요↑
- 美 긴축 영향에 상반기 달러강세 전망.. 하반기부터 둔화될 듯
- 정부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시 시장 안정 조치"
- 증권가 "불확실성 확대.. 코로나 이후 높았던 1230원 수준 전망"
- 에너지 분야 원재료 수입에 환율 상승시 리스크 노출
中 시안發 반도체 공급망 차질 2월까지 지속 전망
- 中 공정원 "1월 중순께 감염사태 진정.. 하순에 잡힐 것"
- 2주 넘는 봉쇄에 삼전 탄력적 조정 범위 확대 예상
- 삼전 시안 낸드플래시 생산량 세계 전체 생산량의 15%
- 삼전, 마이크론 재고량 소진 시 전 세계 공급망 대란 우려
- 공급 타격으로 메모리반도체 가격 반등 전망 힘 실려
삼성전자, LG전자 잠정 실적발표
- 삼전, 4분기 추정 매출 75.2조원, 영업익 15.0조원
- 메모리, 파운드리 수요 견조.. 작년 매출 역대 최고치 예상
- 증권가, 올해 더 양호한 실적 전망.. 다운사이클 조기 종료 및 파운드리 실적 개선 전망
- L전, 4분기 추정 매출 19.6조원, 영업익 8313억원
- 창사 이후 최대치.. TV, 생활가전 부문 실적 견인할 듯
OPEC+, 2월에도 기존 증산 방침 유지
- 기존 하루 40만 배럴 증산 유지 결정
- "오미크론 확산, 석유 수요 저하에 영향 없어"
- 국제유가 증산 합의에 WTI 1.2% 상승
지난해 조선업 8년만에 최대 실적 기록
- 지난해 조선업 실적 13년 이후 8년 만에 최대 실적
- 전 세계 발주 중 국내 조선 수주 비중 37.1% 차지
- 韓조선사, 올해 수주 목표 상향 추세
- 단, 올해 글로벌 발주 전년비 20% 감소 전망도 나와
오스템임플란트 증시 퇴출될까.. 상폐 요건은?
- 오스템임플란트 횡령에 상폐 기록.. 투자자 촉각
- 거래소 "횡령 자금 얼마만큼 회수될지가 중요할 것"
- 24일까지 실질심사 대상 여부 결정 예정"
마이데이터 서비스 전면 시행
- 개인 신용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 5일 16시 시행.. 금융사 정보 한 눈에 볼 수 있어
- 국세, 지방세, 건강보험 등 공공정보는 상반기 제공 계획
3. 다음주 주요 일정
- 10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13일)
- 11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지명자 인준 청문회
- 12일, 美 12월 CPI 발표
- 13일, 美 12월 PPI 발표
- 13일, 韓 옵션만기일
- 14일, 韓 금통위
- 14일, JP모건, 시티그룹 실적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