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ekly 시황35

'21 8월 4주차 시황 정리 (34주차) 1. 증시 주요 이슈 삼성 신작 폴더블폰 흥행 성공 - 갤럭시Z폴드, 플립3 예약판매량 80만대 추정 - 전작 대비 약 10배 증가한 수준 -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YoY 3배 증가한 900만대 달할 것으로 전망 -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90%에 육박 美 FDA, 화이자 백신 사상 첫 정식 승인 - 임상실험서 안전성, 유효성 입증하며 FDA 최고 표준 충족 - 신규 백신 접종에 다시 탄력 붙을 듯 - 화이자 "12세부터 15세에 대해서도 정식승인 획득 추진" - NYT, 피고용자에게 백신 접종 증명 요구하는 기관 및 사업체 늘어날 것으로 전망 삼성, 3년간 240조 투자 계획 발표 - 단일 기업 사상 최대 투자규모, 이 중 180조 국내 투자 - 2030년까지 반도체 171조 .. 2021. 8. 31.
'21 8월 3주차 시황 정리 (33주차) 1. 주가지수 코스피: 3060.51 (-2.47%) 코스닥: 967.90 (-5.22%) 다우산업: 35120.08 (-1.11%) 나스닥종합: 14,714.66 (-0.73%) S&P500: 4,441.67 (-0.59%) 2. 증시 주요 이슈 외국인의 셀코리아, 코스피 외인 비중 5년 만에 30% 하회 - 32주차 코스피서 외인 7.1조 순매도, 주간 기준 최대 - 미국발 조기 긴축 우려와 반도체 하락세 진입 전망 겹쳐 - 한은 금리인상 시기 겹치면 증시 조정 장기화 전망도 - 올해 외국인 순매도 30조, 4月 제외 매달 매도 - 2010년 이후 외인 최저 지분율 31.3%, 바닥 찍었다는 인식 - 환율 11개월만 최고치 테이퍼링 목소리 내는 연준, 연내 테이퍼링 실행 가능성 ↑ - 파월, "델타 .. 2021. 8. 23.
'21 8월 2주차 시황 정리 (32주차) 1. 주가지수 코스피: 3,171.29 (-3.03%) 코스닥: 1,040.78 (-1.79%) 다우산업: 35,515.38 (+0.87%) 나스닥종합: 14,822.90 (-0.09%) S&P500: 4,468.00 (+0.71%) 2. 증시 주요 이슈 JP모건 중국서 100% 지분 증권사 설립 허가 - 중국이 외국 기업에게 지분 100%를 소유 승인한 것은 처음 - 2단계 무역협상 전 1단계 합의 내용을 이행해 향후 허점을 잡히지 않겠다는 속내로 평가됨 - 中 당국은 지난해 4월 자국 자산운용 시장을 개방해 외국인이 100% 지분을 갖는 증권사를 설립을 허용 - 6月 블랙록의 뮤추얼 펀드 사업, 7月 피델리티 뮤추얼 펀드 설립 허가 이재용 부회장 가석방, 삼성전자 D램 위기설에 폭락 - D램가격 4분.. 2021. 8. 15.
'21 8월 1주차 시황 정리 (31주차) 1. 주가지수 코스피: 3,270.36 (+2.12%) 코스닥: 1,059.80 (+2.78%) 다우산업: 35,208.51 (+0.78%) 나스닥종합: 14,835.76 (+1.11%) S&P500: 4,436.52 (+0.94%) 2. 증시 주요 이슈 크래프톤 청약 흥행 '참패' - 공모가 고평가 논란 속에 일반 청약 증거금 5조원, 경쟁률 7.8대 1수준으로 마감 - 청약기간 같았던 윈티드랩(AI 기반 채용 플랫폼 운영)은 경쟁률 1731대 1로 흥행 - 모집 물량의 절반을 모든 청약자에게 똑같이 배분하는 균등 배정 방식을 적용 -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24조3천512억원으로 게임주 1위인 엔씨소프트를 37%가량 웃도는 수준 - 10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 中 플랫폼 이어 게임 규제 소식이 영향.. 2021. 8. 8.
'21 7월 5주차 시황 정리 (30주차) 1. 주가지수 코스피: 3202.32 (-1.60%) 코스닥: 1031.14 (-2.31%) 다우산업: 34,935.47 (-0.36%) 나스닥종합: 14672.68 (-1.11%) S&P500: 4,395.26 (-0.37%) 2. 증시 주요 이슈 27~28일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 지난 6월 회의 때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할지에 대한 논의 - 이번 회의에서 테어퍼링 시점과 방법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을 했다고 발표 - 테이퍼링의 조건은 '상당한 경제의 진전(2% 이상의 인플레이션)과 완전 고용'이라고 설명, 저번과 같은 기조 - 현 제로 수준 금리와 월 1200억 달러 수준의 자산매입 동결 -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입장 유지 - 성명문에 테이퍼링이 언급되며 27일 밤 장 위축되었다.. 2021. 7. 31.